반응형

BPS

오늘은 주식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인 "BPS"에 대해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BPS란?

한글로는 주당순자산가치라고 합니다.

주식투자를 할때 기업의 재무재표와 각종 지표들의 분석을 통해서

기업의 가치를 분석하고 투자를 결정합니다. 투자를 하고 많은 이익을 보기위해서는

투자가치가 높은 기업을 찾아야 하는데 이럴때 분석해봐야할 기초적인 지표중에

주당순자산가치 BPS(Book-value Per Share) 지표가 있습니다.

주당순자산가치 BPS = (총 자산 - 총 부채) / 발행 주식 수

현재 주가를 기준으로 단편적인 값만 보고 판단하는것이 아닌 BPS를 볼때도

주당순자산가치 BPS의 흐름을 봐야합니다. 과거의 BPS에서부터 지금의 BPS를 봤을때

BPS값의 변동과 증가율을 확인함으로써 기업의 성장성이나 비전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쉽게말해, BPS는 기업의가치가 현재 저평가 되어있는지 고평가되어있는지의

정도를 파악을 도와주는 개념입니다.

BPS의 의존도

현재 BPS가 높거나 낮다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고평가이거나 저평가진 않습니다.

혹여나 현재 굉장히 고평가인 A기업이 있다고 가정합시다,

A기업의 BPS는 높은데 현재가가 낮은 경우,

회사에 문제가 있거나 현재 분기에서 매출/순이익 등이 낮은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고 절대적으로 맹신하시면 절대 안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