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ER

오늘은 PER에 대해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ER이란?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가 / 1주당 순이익

1주당 순이익은 EPS라고 합니다.

따라서, 주가 ÷ EPS 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순이익이 아니라 주당순이익을 분모로 쓰는 이유는

분자의 주가가 1주당 주가이기 때문입니다.

분자를 주가×발행주식총수인 시가총액로 하면 분모를 순이익으로 하여

계산해도 됩니다. 이 경우에는 시가총액 ÷ 당기 순이익이 되겠네요.

PER는 그것이 원금 회수 기간을 의미한다거나 그 역수는

투자수익률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이용한다기 보다는,

주가수익비율이 낮은가 아니면 높은가를 본 후

저PER(주가수익비율이 낮으므로 저평가된) 기업에 투자 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가치투자가 존 네프는

"PER은 주식시장 최고의 심판관이다. 이렇게 할지 저렇게 할지 헷갈릴 때에는 저PER주만 골라 매입하면 된다."

라고 하여 PER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가치투자에서 그만큼 중요하다는 느낌이네요.

절대적인 수치만 보고 판단하는것이 아닌 자기만의 철학과 꾸준한교육을 통해 공부하는것이 방법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