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배당금
오늘은 주식 배당금에 대해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투자로 돈을 버는 방법

주식투자로 돈을버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매수와 매도 시세 차익으로 돈을 버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주식을 가지고있으면 주주의 권리로서 나오는 배당금을 받는방법입니다.
기업은 이익을 창출해야 하고 주주는 그 기업의 지분이 있으므로 이익을 배분하는것이 원칙입니다.
이것을 배당이라고 하고, 이렇게 주주에게 주는 돈을 배당금이라고 합니다.
배당금은 보통 현금으로 지불되지만 추가 주식을 주는 경우도 있다.
주식 배당의 종류

배당은 국내에선 크게 3가지로 나뉘는데요.
분기 배당: 연 4회 분기마다 배당 지급
연말 배당: 연 1회 지급하는 배당
중간 배당: 연말배당 기업이 1회 더주는 경우의 배당
배당 기준일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 기준일에 그기업의 주주 즉 지분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배당 기준일에 주식을 사면 이미 늦다.
주식은 거래가 체결되어도, 실제로 그 주식이 내 입고가 되는 것은 영업 기준일 이틀 후이니 이틀 전엔 매수를 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배당락
배당 기준일 전날을 배당락일이라고 합니다.
이때에는 주식을 가져도 배당을 받을수있는 권리가 없어지는 날입니다.
배당금 확인은 MTS나 HTS에서도 할 수 있고, 금융사이트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PS란?
DPS는 1주당 배당금을 의미합니다.
매분기 1주당 배당금을 DPS만큼 줬으니까, 이번에도 그정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어떠한 이유로 변경될 수도 있다.
배당수익률

주주 관점에서는 수익률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예를 들어, 1주당 배당금이 100원인데, 1주 가격이 10,000원이면 수익률이 1%인거죠.
배당성향: 당기순이익 중 배당금 지급액 총액입니다.
해당 기업이 이익에서 배당을 얼마나 줄 수 있는지 파악할수 있습니다
마치며
배당을 목적으로 주식을 사고 파는 소액 주주들때문에 배당락일 전에는 주가가 올라가고,
이후에는 주가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배당락전일에 매수하고 배당받고 매도해도 크게 수익은 없습니다.
배당금은 배당금 지급일에 배당소득세율인
소득세 14%와 주민세 1.4%를 더해 15.4%의 세율로 원천징수해서 들어옵니다.
'주식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이야기 5편 - 재무제표 보는법 (0) | 2022.07.18 |
---|---|
주식이야기 4편 - 증권사 선택하기 (0) | 2022.07.18 |
주식이야기 3편 - PER이란 무엇인가? (0) | 2022.07.18 |
주식이야기 2편 - BPS란 무엇인가?, BPS 완벽 정리 및 BPS에 의존하면 안되는 이유 (0) | 2022.07.18 |
주식 이야기 1편 - 주식 투자란 무엇인가, 주식 투자 정의 및 주식 종류 정리 (0) | 2022.07.18 |